티스토리 뷰

 

변수의 개요

프로그램에서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/관리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추상화한 것.

변수의 속성

  • 변수명 : 변수의 이름. 식별자(identifier)
  • 타입 :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의 종류. 자료형
  • 주소 : 변수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위치. 참조 reference
  • 값 :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.

배런의 표기법

바인딩

언어 구성요소의 속성이 구체적으로 결정되는 것.

예)

* : 곱셈 연산자로 바인딩

int : 4바이트 정수형으로 바인딩

 

바인딩 시각

바인딩이 일어나는 시점

언어의 구성 요소 혹은 속성에 따라 달라진다.

  • 언어 정의 시점 : 연산자의 의미, 수의 의미 등
  • 언어 구현 시점 : 타입의 자릿수, 수의 표기법 등
  • 컴파일 시점 : 변수의 타입 등
  • 링크 시점 : 라이브러리 함수의 내용 등
  • 로드 시점 : 변수의 주소 등. 메모리에 넣는 시점
  • 프로그램 수행 시점 : 변수의 값 등

정적 바인딩 : 프로그램 실행 전에 결정되고 변화가 없는 바인딩

  • 프로그램 수행시간의 효율성이 높음
  • 컴파일 언어

종적 바인딩 : 프로그램 실행 중 일어나고 변화가 있는 바인딩

  •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
  • 인터프리터 언어

 

변수의 바인딩

  • 변수의 속성이 구체적으로 결정 되는 것.
  •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의 속성이 바인딩 되어야 한다.(변수명, 타입, 주소, 값)

변수명 바인딩 없이 사용되는 경우 → 포인터 변수

 

바인딩 순서

  1. 변수명
    • 명시적 선언 : 선언문에 명시된 이름으로 변수명을 바인딩. ex) int x12;
    • 묵시적 선언 : 선언문 없음. 대입문 등에 처음 사용된 이름으로 변수명을 바인딩. ex) k = 123;
  2. 타입
    • 명시적 : int x12;
    • 묵시적 : 변수명이나 대입할 값으로부터 정해지는 타입으로 바인딩
    • 정적 : 컴파일 시점에 구문 분석을 통해 타입 판단
    • 동적 : 변수의 타입을 고정하지 않음. 대입할 값에 맞추어 계속 변화.
  3. 주소 : 변수가 사용할 메모리가 할당되어 변수의 주소가 그 메모리의 주소로 바인딩 되는 것
    • 할당 allocation : 가용한 메모리 중 필요한 만큼의 공간을 변수에 배정하는 것
    • 해제 deallocation : 할당된 메모리를 변수로부터 회수하는 것
    • 변수의 수명 : 변수가 메모리를 할당받고 있는 기간 
    • 자동할당 : 선언을 통해 정해진 변수의 타입에 맞추어 필요한 메모리 할당
    • 수동할당 : 프로그래머가 지정한 크기만큼의 메모리를 할당.
    • 주소 바인딩을 위한 메모리 구조
      • 자동할당 : 상황/언어에 따라 정적 또는 동적 세그먼트 활용
      • 수동할당 : 동적 세그먼트의 힙
    • 정적 바인딩 : 로드 시점에 정적 세그먼트의 주소를 바인딩
    • 동적 바인딩 : 프로그램 수행 중 변수가 사용되는 시점에 동적 세그먼트의 주소를 바인딩
    • 정적 변수 : 정적 바인딩을 하는 변수. 수명은 프로그램 수행 전체 기간
    • 동적 변수 : 동적 바인딩을 하는 변수. 동적 세그먼트의 사용 영역에 따라 구분(스택/힙).
      • 스택 : 필요한 시점에 할당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짐
      • 힙 : 수동 할당/해제 또는 동적 타입 바인딩을 하는 변수

 

'방송대 > 프로그래밍언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프로그래밍 언어의 구현  (0) 2022.09.24
구문분석  (0) 2022.09.24
구문론과 의미론  (0) 2022.09.07
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  (0) 2022.09.05
2장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전 및 동작원리  (0) 2022.08.25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4/07   »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 31
글 보관함